자동차 튜닝 관련

차량의 경고등과 표시등

-文山- 2014. 11. 28. 11:50
반응형

자동차 계기판(클러스터)에는 계기류를 나타내는 속도계, 수온계, 연료계, 타코미터와 표시등, 경고등이 있다.

 

 1. 차량의 계기류

     속도계, 수온계, 연료계, 타코미터

 

 ㄱ. 냉각수 수온계 : C(Cold)와 H(Hot) 사이의 중간 정도가 주행 중 정상적인 온도임.

       - 주행 중 수온계 지침이 H로 다가가며 흔들릴 경우 :

         엔진이 과열되는 현상, 정차 후 엔진 식힘 및 냉각수 체크

       - 장시간 주행 중에도 지침이 C 부근에 계속 근접해 있다면 수온 조절기가 열린체 고착된 상태일 수

         있음. (점검요)


 ㄴ. 엔진회전계 (타코미터) : RPM표시 / 붉은 구역은 레드존으로 진입시 FUEL CUT 기능 작동

                                  (엔진 마모 한계)


 ㄷ. 속도계 : 요즘 나오는 차들은 30Km/h에서 붉은 색상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는 학교앞 스쿨존 속도를

                나타냄.


 ㄹ. 연료계 : E(Empty), F(Full) : 주유기 아이콘 옆의 화살표( ▶)는 차량의 주유 입구 방향을 표시함.


 

 

2. 경고등과 표시등 (자동차의 고장 및 이상 등의 현재 상황을 표시함)

      - 보통 정보의 경중에 따라 색상을 표시 : - 붉은색 (차량 운행에 있어 위험한 요인)

                                           - 노란색, 주황색 (안전 운행에 있어 위험한 요인)

                                           - 녹색 (안개등, 전조등, 미등 등 전기장치의 작동상태)

                                           - 파란색 (전기장치 중 상향등과 같이 특수한 장치의 작동상태)

     - 경고등은 보통 시동 시 점등되나, 시동 후 꺼짐. 단, 고장 발생 시에는 시동 후에도 꺼지지 않고

        점등되어 있음.

 

 ㄱ. 엔진오일 경고등  : 오일 부족시, 오일 압력 부족시, 오일이 순환되지 않을 시 점등

      -  점등 시 차량 운행을 멈추고 엔진 오일 체크 및 엔진 오일 누설 체크 필요.

 

 ㄴ. 주차브레이크 경고등  : 주차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액 부족시, 전기 충전장치 고장 시 점등

     - 점등시 주차브레이크를 해제 해보고, 이 후에도 지속적으로 점등 시에는 브레이크 액 체크

     - 주의 : 브레이크 액 보충 전 필히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 상태를 확인 교환 후 브레이크 액 보충

 

 ㄷ. 엔진 경고등   : 전자제어 엔진에 있어 이상이 생길 시 점등됨.

     - 차량의 연비 및 배출가스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점검 필요.

            

 ㄹ. 충전장치 경고등 : 

     - 베터리 모양의 경고등으로 발전기(알터네이터)가 충분한 전기를 공급하지 못할경우 점등됨.

      

 - 전기장치 인 발전기 이상 또는 타이밍 밸트등의 파손 및 장력이상으로 점등 가능.

 - 주차 브레이크와 같이 점등됨.

 - 베터리가 방전되기 전 전기장치 사용을 최소화 하고 가까운 정비소에서 점검필요.

 

 ㅁ.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

      - 타이어의 공기압이 규정보다 낮을 경우 타이어의 압력 센서가 신호를 보내 점등.

 

 ㅂ. VDC 경고등 및 VDC OFF 경고등  : 

      - VDC(Vehicle Dynamic Control, 미끄럼 감지 후 자동 제어 장치)

      - 점등 시에는 VDC 기능이 꺼져 있음을 경고해 주는 표시 임.

      - 미끄러운 도로를 운행 시 VDC 경고등이 꺼졌다 켜졌다 하면 VDC가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의미함.

      - 차량에 VDC 경고등 모양의 그림이나 'VDC OFF' 문자는 VDC 기능을 끄는 버튼임.

      - 국내 차량 검사 방법에 있어 필요한 OFF 버튼이나 실제 차량 주행시에는 안전을 위해 켜놓을 것을

         추천함.

 

 ㅅ. 냉각수온 경고등  : 

       - 냉각수의 온도가 많이 상승 할 경우 점등.

       - 점등 시 차량 운행을 즉시 멈춘 후 엔진을 식히고 냉각수 량을 확인

       - 차량의 냉각수 량이 정상인 경우에도 경고등이 점등되면 정비소에서 점검 필요.

 

 ㅇ. ABS 경고등 (ABS) :

       - Anti-lock Break System의 고장시 점등. 또는 차량에 ABS OFF 버튼 작동 시 점등

       - 점등 후에는 ABS가 작동하지 않고 일반 기계식 차량의 브레이크 처럼 브레이크 만 작동됨.

       - 차량의 바퀴가 급 브레이크 시 멈출경우 차체가 돌아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므로 항시

          작동 추천.

 

 ㅈ. 에어백 경고등 (Air Bag) :

       - 시동시 잠시 켜졌다 꺼지는 현상이 정상이므로 계속적인 점등시에는 에어백 점검 필요.

 

 ㅊ. EPS 경고등 (EPS) :

       - 전기 모터식 파워 핸들(electronic power steering) 고장 시 점등 됨.

       - 최근 연비향상을 위하여 유압식 파워 핸들이 아닌 전동식 파워 핸들이 차량에 장착됨.

       - 경고등 점등시 차량 핸들 조작이 무거워 질 수 있으므로 점검 필요.

 

 ㅋ. 연료필터 수분 경고등(디젤 차량)  :

       - 디젤(경유)의 경우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엔진으로 이동 되기 전 연료필터에서 수분을 분리하게됨.

       - 이때 연료필터에 일정량의 수분이 모이면 점등됨으로 연료필터 교환 또는 수분제거 필요.

 

 ㅍ. 이모빌라이저 경고등  :

       - 차량의 등록된 스마트 키 이외엔 시동이 걸리지 않는 전자키 기능으로 고장시 점등.

       - 시동시 잠시 경고등이 점등되었다가 시동후 꺼지는게 정상적임.

       - 고장으로 인하여 시동이 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키로 비상 시동을 거는 법을 숙지하고 있어야함.

                    (차량마다 비상시 시동법이 다름)

 

ㅎ. 연료 잔량 경고등 : 연료 부족시 점등되나 주유 후에도 계속 점등되면 점검 필요.

               - 연료 잔량 경고등의 점등 기준은 최대 연료량의 약 10%이하가 되었을 경우임

     

 -  경차 : 약5L

 -  소형 및 중형 : 약6~9L

 -  대형차 : 약 12L

 -  RV차량 : 약6~8L

   - 연료는 온도에 따라 기화되어 팽창이 가능하므로 연료통의 용량은 실제 제작시 안전상

     더 크게 제작함. 

   - 특히 LPG는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 충전량이 항시 바뀔 수 있어 안전상 봄베(LPG통)용량의

      85%만 충전!

 

 

기타. 예열 표시등과 LPI 표시등 (LPI)

    -  디젤 차량만 있는 예열 표시등은 시동성이 부족한 경유를 위해 예열 플러그로 예열 후

       시동을 걸어주게됨.

    - LPI 엔진은 시동 시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하여 시동성을 위해 압력 생성시 점등됨.

    - 디젤 차량의 예열표시등과 LPI 차량의 LPI 표시등은 키 온 후 점등이 꺼진 후 시동을 걸어줌.

      (특히 겨울철)

 

 

 

예시 : 기아자동차 그랜버드 버스 경고등

 

예시 : 기아자동차 그랜버드 버스 경고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