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든 시간을내서 자동차 정기검사 또는 종합검사를 받으러 가시는 분들.....
그런데 불합격 맞아서 다시 갈려면 시간을 또 내기가 힘들잖아요.
가기전 한번 체크해 보세요.
1. 외관
- 처음 검사소 또는 검사장에 들어가면 검사원님들이 차를 알게 모르게 쭉 훓터 봅니다.
- 외관의 LED (LED제거 또는 선을 끊고 갑니다. 나중 검사 후 다시 이으는건 차주마음.)
- 사제 HID전조등, 사제 HID 안개등 (불합격 : 요즘 발리스터 즉, 안정기가 붙어 있으면
불합격 주는곳 많음. 제거)
- 번호판 양 옆 빈칸의 빨강 파랑 스티커, 번호판 테두리에 붙인 스티거
(무조건 번호판 여백의 스티커는 제거해야함.)
- 뒤 대로등 상태 (브레이크 등이 잘 들어오는지 필히 확인 / 사제 LED 대로등 불합격 사항임 : 정품 교환)
- 주로 화물차량에서의 흙받이 없거나 파손 (시정권고 사항이므로 불합격은 아닙니다.)
2. 앞바퀴 정렬 상태 : 얼라이먼트 (시정권고 사항이므로 불합격은 아닙니다.)
- 단 이상이 있을 시 꼭 In 또는 Out 어느 쪽으로 이상이 심한지 물어보고 정비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앞바퀴 정렬 상태 이상시 타이어가 편마모, 이상마모되어 타이어가 빨리달고
이때 타이어 가격이 얼라이먼트 정검비 보다 몇배더 비싸기 때문입니다.
3. 브레이크 작동 상태
- 이건 개인적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므로 혹 검사시 불합격이면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위해 고치기 바랍니다.
- 우리 동네에서 어떤분이 주차 브레이크 고장난줄 모르고 약간 언덕길에 주차했다가 차가
뒤로 굴러 어린이 두명 사망 사고 있었습니다. 한순간에 자신도 모르는 실수로 인생이 바껴버렸습니다. 그리고 안타까운 두생명.
4. 전조등 작동 상태
- 밤에 운전중 상대편 차가 상향등을 갑자기 켜는게 자주 있거나 내 차의 전조등이 삐뚤어져
있다 생각되면, 검사 중 검사원에게 부탁드려 전조등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단 고급 차량의 HID 전조등 및 외제차량의 HID 전조등 일부는 차고 센서 이용 자동조절 되므로
수동 조절이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 해당 차량 센터에서 조정받으실 수 있습니다.)
5. 매연검사(경유차량), 배출가스 검사(휘발유 차량 및 LPG차량)
- 정기검사의 경우 (차량이 인구 50만 미만 지역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 경유차량은 등록증 상의 최고출력(RPM) 이상을 약 6 ~ 13회 제자리에서 밟아 최고 매연 수치를
측정합니다.
: 검사장 가기 전 스스로 3초 안에 최고출력까지 밟아보고 검은색, 또는 회색 등 눈에 보일 정도로
매연이 나오면
1. 엔진오일, 필터, 에어클리너 교환 / 2~3일전 마후라 물청소 / 연료필터 교환사항 체크
2. 검사장 가기 전 미리 최고 출력을 왕왕내서 마후라에 쌓여 있는 매연을 털어줌.
3. 불스원샷등의 상품이 순간적 효력을 내기도 합니다. 불안하면 검사 전 부워줍니다.
4. 위의 사항들을 시행하고도 불합격 시에는 플랜저(불안자)등의 점검 및 수리 필요.
: 휘발유 차량은 정기검사시 배출가스 (CO, HC, NOX, 공연비) 검사를 받게 됩니다.
: 검사장 가기 전 스스로 체크할 수 있는 사항은 머플러에 구멍이 나있는지 입니다.
구멍으로 배기 소리가 심할경우 100% 불합격이므로 무조건 배기관을 교화하고 검사장에 가야 합니다.
: 만약 검사 후 불합격 시 가능한 검사받은 검사장에서 안내하여 주는 곳으로 수리를 문의합니다.
(아쉽게도 오래된 차량의 경우 100% 완벽한 수리가 불가능하여 어느정도 인간관계 또한
필요할 지 모릅니다. 즉, 차량이 오래될 수록 가능한 계속 검사를 받아오던 검사장 한곳 만
가는것이 좋습니다. )
- 정기검사의 경우 차량이 10년 이상 노후화 되지 않았다면 큰 고장이 없는한 불합격은 잘 나지 않습니다.
- 종합검사의 경우 (서울, 경기,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인구 50만 이상의 지역에 차량이 등록된 경우)
: 경유차량은 KD147 검사모드를 진행하게 됩니다.
: KD147 모드는 실제로 차량의 구동축을 작동시켜 우리나라 출퇴근 시 평균 달리게 되는 도로 구간을
산정하여 이때 측정되는 매연의 최고 수치를 기록, 적합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 검사장 가기 전 체크할 사항은 위의 경유차 정기검사전 체크 사항과 비슷합니다.
: 휘발유 차량의 종합검사의 경우 휘발유 차량의 정기검사 방법과 거의 같으나 차이점은 구동축의
작동 여부 (부하테스트 유무)입니다.
: 만약 검사 후 불합격 시 위의 휘발유 차량 정기검사 불합격시와 대처 방법이 같습니다.
※ 최근의 검사방법은 사진으로 그 근거가 남고 컴퓨터가 기록하므로 주먹구구식의 검사를 받는 건
어렵다 사료됩니다.
얼라이먼트 (사이드슬립)용 브레이크 테스터 매연 검사시 배기관으로 들어가는 프루브
휘발유 차량 배출검사시 CO, HC, 공연비 측정기
'자동차 튜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G (Idle Stop & Go) 기능에 관하여 (0) | 2014.12.19 |
---|---|
달리는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0) | 2014.12.16 |
차량의 경고등과 표시등 (0) | 2014.11.28 |
겨울철 창문의 김서림, 유리 성에 대처 (0) | 2014.11.27 |
겨울 - 차량 관리 및 운행 (0) | 201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