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튜닝 관련

내 차에 진동이 ?

-文山- 2014. 11. 24. 11:34
반응형

차량이 나이를 먹거나 사고가 나면 마모 또는 이상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증가한다.

 

이때 진동은 주로 운전대, 변속레버, 브레이크 또는 주행 패달, 그리고 앉아있는 시트를 통해 감지된다.

 

진동을 느낄 때 크게 두가지 상황으로 나누는데 차량의 주행시 와 차량이 멈춰있는 엔진 공회전 시 이다.

 

 

1. 차량 주행 시 진동

 

   - 주로 속도 60~70km/h 에서 운전대와 차체가 흔린다면 바퀴의 밸런스 불량일 수 있음.

      : 차량이 험지 등을 주행 시 충격으로 인해 바퀴의 휠 벨런스 추가 이탈될 시 주로 나타나며 밸런스 조절이 가능함.

      : 차량의 앞바퀴 밸런스가 불량 시 - 핸들의 진동이 주로 좌우로 떨리는게 느껴짐.

      : 차량의 뒷바퀴 밸런스가 불량 시 - 핸들 또는 차체의 진동이 상하로 떨리는게 느껴짐.

 

  - 차량의 주행 속도와 비례하여 운전대가 떨릴 경우

     : 등속 조인트의 변형 가능성 (전륜차량)

     : 프로펠러 샤프트의 변형 또는 회전 밸런스 불량의 가능성  (후륜차량)

 

  - 주행 중 브레이크 작동 시 운전대와 차체가 떨리는 경우 브레이크 디스크 또는 드럼의 변형 또는 이상마모

     : 차량의 앞바퀴 디스크 변형 또는 이상마모 시 - 브레이크 작동 시 운전대가 좌우로 떨리는게 느껴짐

     : 차량의 뒷바퀴 디스크 또는 드럼의 변형, 이상마모 시 - 브레이크 작동 시 운전대 또는 차체의 진동이 상하로 떨림.

     : 주의사항(원인) - 여름철 긴 내리막길에서 계속적인 브레이크 사용으로 인한 열변형 / 과도한 급제동

 

2. 차량을 세우고 엔진 공회전 시 진동

 

  - 차체의 불규칙한 진동이 발생 시 : 엔진의 부조현상

     : 엔진과 관련된 점화장치, 연료장치 등 관련 부품이 많아 정밀한 점검 후 수리가 필요함.

     : 엔진의 부조는 연비, 출력, 배출가스와 관련이 있음.

 

  - 차체의 규칙적인 진동 발생 시 : 주로 엔진과 차체를 연결해주는 마운팅 또는 롤스토퍼의 손상이나 노화

     : 위의 현상은 에어컨 작동 시 진동을 더 크게 느낄 수 있음.

     : 신차의 경우 사고 등에 의한 마운팅 변형 또는 안착상태 이상으로 진동 발생 가능.

     : 주의사항 - 엔진 및 변속기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롤스토퍼 이상 시

                       가속,감속 또는 전진,후진 변경 시 차체에 강한 진동 발생

                       * 이 경우 자동 변속기 고장과 비슷한 현상이므로 자동 변속기 고장으로 오인하기 쉬움.

 

 

 

  - 마운트, 롤스토퍼 점검 방법

      ㄱ. 평평하고 안전한 장소에 주차하고 주차브레이를 채운 후 각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

      ㄴ. 엔진 마운팅 브라켓 류의 고정볼트를 헐겁게 이완시킴

      ㄷ. 변속레버 D레인지와 R레인지에서 가속 페달을 짧게 2~3회 반복하여 밟아 엔진과 변속기가 충분히 흔들리게 함.

      ㄹ. 엔진 및 변속기가 정위치에 안착되었다 싶으면 이완시킨 고정볼트를 조여줌.

 

  

                           엔진 마운트                             프론트 롤스터퍼                                   리어 롤스토퍼

 

 

 * 차량 공회전 시 진동 중 배기관을 잡고있는 고무 행거가 파손되어 배기관 떨림으로 인해 차체 진동역시 발생 가능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