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7

겨울 - 차량 관리 및 운행

1. 겨울철 주차 요령 : 가급적 실내 주차를 이용하는게 좋으나 실외에 할 경우 가급적 앞쪽이 해뜨는 동쪽을 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아침에 유리 성에가 방지되거나 적어지며, 차량의 시동이 그나마 잘 걸리게 된다. : 실외 주차시 가급적 와이퍼를 들어 놓는다. - 와이퍼가 유리창 성에 등에 얼어붙어 발생하는 블레이드 손상을 방지한다. 2. 겨울철 차량 관리 : 염화칼슘 - 염화칼슘이 있는 도로를 달렸다면 꼭 차량의 하부까지 세차를 해주는 것이 좋다. 염화칼슘은 주변의 습기를 흡수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발열에 의한 제설 작업이 가능하다. 이때 녹은 눈은 염화칼슘이라는 이물질과 섞여 어는 점이 낮아져 다시 얼어 붙는 것을 방지한다. : 겨울철 차량 내 필수 구비 장비 - 차량의 유리에 성에 및 서리를 제거하기..

내 차에서 냄새가 난다면....

차에서 나는 냄새.... 중 평소와 다른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면, 1. 무언가 눌러 붙는 듯한 냄새 -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라이닝 확인 : 긴 내리막길 주행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브레이크 패달만 밟아가며 내려갈 경우 과도한 열에 의한 연기 발생 시 무조건 차량을 세우고 열을 식혀야함. 계속 주행 시 브레이크의 마찰력이 떨어지는 페이드 현상이 발생하면 위험함. 2. 달달한 냄새 - 냉각수 누출 : 엔진룸 또는 차체 밑 을 살펴보면 흰색의 앙금 흔적 또는 녹색의 액체 누출등을 확인함. 냉각수의 냄새는 그 자체가 인체에 유해하고, 냉각수 부족은 차량의 오버히트를 동반하게 됨. 3. 고무타는 냄새 - 엔진의 벨트류, 차량의 타이어 : 엔진의 타이밍 벨트 등이 미끄러지면서 마찰이 발생해 나는 냄새...

내 차에 진동이 ?

차량이 나이를 먹거나 사고가 나면 마모 또는 이상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증가한다. 이때 진동은 주로 운전대, 변속레버, 브레이크 또는 주행 패달, 그리고 앉아있는 시트를 통해 감지된다. 진동을 느낄 때 크게 두가지 상황으로 나누는데 차량의 주행시 와 차량이 멈춰있는 엔진 공회전 시 이다. 1. 차량 주행 시 진동 - 주로 속도 60~70km/h 에서 운전대와 차체가 흔린다면 바퀴의 밸런스 불량일 수 있음. : 차량이 험지 등을 주행 시 충격으로 인해 바퀴의 휠 벨런스 추가 이탈될 시 주로 나타나며 밸런스 조절이 가능함. : 차량의 앞바퀴 밸런스가 불량 시 - 핸들의 진동이 주로 좌우로 떨리는게 느껴짐. : 차량의 뒷바퀴 밸런스가 불량 시 - 핸들 또는 차체의 진동이 상하로 떨리는게 느껴짐. - 차량의 ..

내 차를 눈으로 살펴 보자

* 차량의 배기가스의 색상과 주차 후 내 차에서 떨어진 액체의 색상을 살펴보자 1. 배기가스의 색상 - 무색 또는 연한 청색 : 정상 - 많은 양의 흰색 가스 (매콤하고 역한 냄새) : 엔진오일이 연소실로 과다 유입 (겨울철 냄새 없는 흰색 가스는 정상) - 검은 회색 연기가 지속적으로 발생 : 연료가 완전연소가 되지 않고 불완전연소함. (디젤엔진에서 주로 발생) - 진한 청색 가스 : 솔벤트나 톨루엔 등의 유사 휘발유가 섞인 연료 사용 차량 2. 엔진 룸 또는 주차 후 차량 밑에 떨어진 액체의 색상 - 갈색 또는 검정색 : 엔진오일누유 (디젤의 엔진오일 누유는 전부 검정색) - 붉은색 또는 붉은 빛깔의 갈색 : 자동 변속기 오일 또는 파워 스티어링 오일 누유 (자동변속기 오일 부족 시 변속 충격 또는 ..

내 차의 소리를 들어보자

1. 엔진 (정상 소리 = 피스톤 등 금속의 마찰음 발생 / 벨트 등의 고무류 마찰음 발생 / 연소시 폭발음 발생 등.) - 시동을 걸때 시동모터가 '택택'거리며 힘없는 소리를 내면 : 충전장치 불량 또는 베터리 노후화로 인한 방전 - 시동을 걸때 '끼이이익' 또는 '끼릭 끼릭' 등 날카로운 소리 발생 : 벨트가 미끄러지며 내는 소리로 장력조절 필요 ( 벨트의 장력이 정상이 아닐 경우 발전기, 파워펌프, 에어컨 컴프레셔, 워터펌프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차량을 주행시 '따르르륵' 등 엔진 쪽에서 이상음 발생 : 피스톤이 엔진을 치는 녹킹 현상 ( 자동변속기의 경우 주행 중 녹킹현상 발생 시 바로 정비가 필요함) 2. 배기장치 - 차량을 주행 시 아래서 '덜그락 덜그락'거리며 출력이 떨어지면 : 촉..

가솔린 엔진과 디젤엔진의 rpm

가솔린 엔진의 경우 레드존(엔진의 물리적 한계 RPM)까지 약 6500rpm 디젤 엔진의 경우 레드존까지 약 4200rpm (* 일반 승용 차량은 레드존에 도달시 연료차단 기능으로 엔진을 보호) 디젤 엔진의 rpm이 가솔린 엔진rpm 보다 낮은 이유 - 행정구간이 피스톤의 지름보다 긴 롱 스트로크 엔진을 사용. : 이때 피스톤이 왕복하는 거리와 시간이 증가하고 높은 rpm에서는 실린더와의 마찰이 커져 운동성에서 불리하게됨. - 압축 착화 연소 이므로 연소 과정 기간이 가솔린 엔진보다 김 : 만약 과도한 rpm 상승 시 미연소 상태의 혼합기가 배출되어 연비와 출력이 저하되고 매연이 많이 발생하게 됨. : 위와 같은 이유로 차량 검사 중 급가속 매연 검사시 평소 운전시보다 매연이 많이 발생하게 됨. - 연료..

소모품 교환에 관하여 (트럭, 버스)

1. 엔진 오일 및 필터 - 브랜드가 정한 품질 규격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품질 등급 기준을 적용한다. - Diesel Engine 점도는 CC, CD, CF, CG, CH 급 등이 사용되는데 알파벳 순서가 뒤로 갈수록 고품질로 취급된다. 2. 엔진 오일 필터 - 엔진오일 필터는 Full Flow Filter와 Bypass Filter로 구분된다. - 최근에 많이 쓰이는 디젤 엔진 필터는 원심 분리식 Bypass Filter가 사용된다. - 엔진의 성능 상승에 따른 오일 품질 상승은 오일 사용 수명도 늘리고 있다. 3. 엔진 오일 점검 - 오일 레벨게이지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오일량은 소형 승용차의 경우 25%이며, 대형..